1. 석박사 통합과정 시 글로벌 우수인재양성 등 등록금 장학 지원가능
2. 다양한 주제 관한 연구
1) 스트레스에 의한 대사과정의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,
이를 통하여 여러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
2) 미백, 주름, 지방, 폐암 등 이와 관련된 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억제제 연구
3. 산업단지공단, 기초의과학연구센터(MRC) 및 학교 (링크사업, 브릿지 사업 등) 과제에 선정되어 다양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할 수 있음.
4. 특허 및 기술이전 사업에서도 성과를 나타냄.
5. 국내 학회 및 국제 학회 지원
6. SCI 급의 다수의 논문 게제
7. 세포 뿐만아니라 동물 실험 진행 할 수 있음.
병태생리학 연구실
(Pathophysiology Lab)
연구 분야
간 관련 질환 치료제 연구
담당교수
김상건
위치
약학관 538호
이메일
ksoonj1112@gmail.com
연구실 소개
1.분자 및 세포 수준의 병리기전에 근거한 약물 작용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, 발굴한 약물을 활용한 약물효능 및 약리기전 연구와 임상후보 약물 발굴, 임상연구 진입을 연구목표로 합니다.
2. 염증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증가되고 생체 항상성이 교란되어 나타나는 만성질환(특히 간 대사장애 등 만성 질병)의 치료 타겟 발굴, 후보약물의 약리/기전 연구, 임상 진입을 통한 신약 개발을 목표로 두고있습니다.
세포배양실2
(Cell culture Room)
연구 분야
간 관련 질환 치료제 연구
담당교수
김상건
위치
약학관 541호
이메일
ksoonj1112@gmail.com
연구실 소개
cell culture room은 생물 안전 캐비닛을 사용하여 생리학적 조건에서 다양한 동식물의 감염원 또는 세포 배양을 조작하는 방입니다.
조직 성장 및 성숙, 바이러스 생물학 및 백신 개발, 질병 및 건강에서 유전자의 역할, 바이오 의약품을 생성하기 위해 세포주를 사용 및 연구하고 있습니다.
배양된 세포의 실험적 적용은 시험관 내에서 성장할 수 있는 세포 유형만큼 다양합니다.
임상 맥락에서 세포 배양은 기본 세포 생물학을 연구하고 질병 메커니즘을 복제하거나 새로운 약물 화합물의 독성을 조사하는 모델 시스템을 만드는 것과 가장 일반적으로 연결됩니다.
1. Solid-Phase Peptide Synthesis (SPPS)
2. Development of new peptide-like active substance
3. Development and stabilization of peptide secondary structures
4. Development of peptide delivery system
1. DATA-DRIVEN NATURAL PRODUCTS DISCOVERY AND REPOSITIONING
2. BIOACTIVE SMALL MOLECULE DISCOVERY FROM CYANOBACTERIA AND MEDICINAL PLANTS
3. DEEP LEARNING APPLICATION IN NATURAL PRODUCTS RESEARCH