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천연 유기자원인 바이오매스(biomass)를 기반으로 바이오리파이너리(biorefinery) 기술을 이용한 수송용 액체 바이오연료(biofuels) 및 천연고분자소재(bioproducts)의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
2.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은 바이오매스로부터 다양한 유용 화학성분을 분리·정제하여 친환경 에너지 및 소재를 생산하는 기술로서 화석연료 및 석유화학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미래 선도기술이며, 바이오에너지연구실에서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 에너지 및 소재 개발을 위한 과학적 원리를 구명하는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음
3. 친환경 소재인 목재 및 종이의 사용연한 연장을 위한 보존과학 원리를 바탕으로 유기물 문화재의 보존·복원을 위한 다양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
사막화방지 연구실
연구 분야
산림/사막화방지
담당교수
강호덕
위치
상영바이오관 307호
이메일
hdk0225@dongguk.edu
연구실 소개
산림과 식물에 관련된 연구를 하는 연구실입니다. 또한 사막화 방지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습니다.
바이오신소재연구실
연구 분야
친환경 기능성 소재, 바이오신소재
담당교수
김대영
위치
상영바이오관 460호
이메일
sbpkim@dongguk.edu
연구실 소개
화학약품을 기반으로 제조된 기존 제품 및 소재의 남용과 오용에 따른 부작용을 대체하기 위해 생체 친화적인 바이오자원을 활용하여 기능성 소재, 친환경 농업소재, 바이오소재, 식품공정소재 등을 개발.
생태계서비스연구소
연구 분야
환경게획/도시생태/생물다양성 보전/생태계서비스/보호지역 관리
담당교수
오충현
위치
상영바이오관 304호
이메일
ecology@dongguk.edu
연구실 소개
환경계획, 도시생태, 생물다양성, 생태계서비스를 연구하는 생태계서비스 연구소입니다.
지속가능환경시스템 연구실
연구 분야
환경법·정책학
담당교수
윤화영
위치
상영바이오관
366호
이메일
yunhy@dongguk.edu
kimlee999@dgu.ac.kr
연구실 소개
1. 환경법·정책학관련 연구 진행중
2. 기후변화 정책 및 환경교육 연구도 진행중
3. 현재 연구실에 학생이 없어 조시경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김민상 학생이 대신 조교로 활동 중
토양대기환경연구실
연구 분야
토양.대기 내 유해물질
담당교수
이상용
위치
상영바이오관 601호
이메일
cys9968@dgu.ac.kr erttre@dgu.ac.kr
연구실 소개
1. 가축분뇨 퇴비화 공정별 2차 미세먼지 잠재발생량 전환기작 규명 및 전환 억제기술 개발
2. 농경지 살포퇴비의 부숙도에 따른 미세먼지 생성 효과 분석
3. 담수 수계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복합환경 거동 에측 모델 개발
1. 유기성 폐기물 처리 - 가축분뇨, 하수슬러지, 음식물류 폐기물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화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하며, 하수슬러지의 고형폐기물연료(SRF)로 가공하거나 농가에서 발생하는 폐작물의 자원화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.
2. 하폐수 처리 -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, 미량오염물질을 분석하고 스마트팜에서 발생되는 폐양액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
3. 분자생물학적 미생물 분석 - 수계에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(Antibiotic resistance genes, ARGs)를 분석하거나, 혐기성 소화조 내 메탄생성균의 특정 기능 유전자(Functional gene)에 대한 발현량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.
생물공정연구실
연구 분야
수처리공정/하수역학/광학·유전체sensor/유역관리
담당교수
김극태
위치
상영바이오관 342호
이메일
kkt38@dongguk.edu
연구실 소개
생물공정연구실은 정보과학기술(IT)와 생명공학기술(BT)을 접목한 환경공학기술(ET)융합을 기반으로 탄소중립형 수처리기술 개발, 하수역학 기반 감염성 병원체 관리, 유전체 및 광학 센싱 기반 스마트시티 요소 기술 및 지속 가능 유역관리기법 개발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 하였습니다. 특히, 수처리시설 선제대응을 위한 미생물 군집, 광학 및 유전체 기반 스마트 센서,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센싱 기반 지능형 시스템 구축 과 유전체 기반 게놈 센싱 기반 하수 및 가축분뇨 감시를 통한 예찰 시스템을 통한 사전 관리방안 및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IT 와 BT를 접목한 ET의 차세대 첨단융합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새로운 환경생명공학기술을 개발과 탄소중립 기술 개발을 목표를 가지고 고부가가치 기술, 지식 창출과 고급인력의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